림프종 원인 증상
안녕하세요! 건강 정보 블로그 돈도끼 티스토리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림프종 원인과 증상, 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림프종은 우리 몸의 면역체계를 구성하는 림프계에 발생하는 종양을 말합니다.
이는 림프계에서 비정상적인 세포들이 무분별하게 성장하여 발생하는 혈액암의 일종으로 대개 림프절에서 시작하지만 림프와 관련이 있는 조직을 포함하여 체내의 어느 장기에서나 발견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림프종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지만 크게 호지킨 림프종과 비호지킨 림프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 빈도를 보았을 때 전 세계적으로 호지킨 림프종과 비호지킨 림프종의 발병 비율이 각각 절반 정도이나 한국의 경우 비호지킨 림프종의 발병 비율이 더 높습니다.
림프종 원인
림프종의 경우 면역 결핍 환자에게 많이 발생을 하는데 최근 10년 사이에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장기이식에 따른 면역억제제 복용환자와 후천성면역결핍증 환자의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교원 혈관질환, 엡스타인바 바이러스와도 관계가 있습니다.
면역기능이 정상적인 사람에게도 발생을 하는데 이 때는 주로 50~60대 연령층에서 발생을 하게 됩니다.
면역결핍 환자의 경우에는 평균 연령 34세로 좀 더 젊은 연령층에서 발생하고 후천성 면역 결핍증 환자의 경우에는 90% 이상이 남자입니다.
- 유전적 면역 질환, 자가 면역 질환
- HIV 감염에 의한 후천적 면역 결핍
- 장기 이식 후 면역 억제제 복용
- 특정 바이러스(엡스테인바 바이러스) 감염 및 세균(헬리코박터균) 감염
- 림프종에 대한 가족 병력
림프종 증상
림프종 증상으로는 전신적으로 나타나는 발열, 야간 발할, 전신 무력감, 원인 미상의 체중 감소, 원인 미상의 지속적인 기침 등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호지킨 림프종은 주로 머리나 목, 겨드랑이 부위에서 그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 부근의 림프절이 통증 없이 서서히 자라나면서 림프절이 비대해지게 됩니다.
이러한 림프절비대가 종격동을 침범하여 기관지를 압박하게 되면 기침이나 통증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비호지킨 림프종의 경우 말초 림프절이 비대해지며 이것이 여러 장기를 침범하여 그 부위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나타내게 됩니다.
이러한 침범 부위가 소화기계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소화불량, 변비, 출혈, 천공, 장폐색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림프종 진단
림프절이 비대해졌다고 모두 림프종이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림프종과 관계 없이 단순 감염에 의한 면역 반응으로 림프절이 비대해지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통증이 동반되고 그 증상이 전신에 걸쳐 산재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림프종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조직 검사를 통한 암세포의 병리학적 진단이 필요합니다.
가장 정확한 진단법은 림프절의 생검을 통하여 진단을 하는 것인데 그 결과 림프절 내의 리드 스텐버그 세포가 존재한다면 호지킨 림프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염증성 세포의 조직 침윤을 통하여 호지킨 림프종과 비호지킨 림프종을 구분하기도 합니다.
호지킨 림프종의 경우 호산구, 섬유하세포, 리드 스텐버그 세포, 형질 세포 등이 나타나게 됩니다.
그 외에도 흉부 X-ray 를 통해 폐문 및 종격동을 진단하고 혈액 검사를 통해 혈청 LDH와 요산치의 증가를 측정하여 진단하기도 합니다.
림프종 치료
림프종의 치료는 그 병기와 악성 정도, 종류에 따라 치료법이 다른데 보통 한가지의 약제로는 완벽한 치료가 이루어지기 힘들어 다른 작용 기전을 가진 약물을 조합하여 치료를 진행하게 됩니다.
림프종은 외과적 수술을 통하여 치료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대부분 방사선을 이용하여 치료를 진행하게 되는데 정상적인 장기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림프종의 병기와 발병 위치 등에 따라 방상선을 조절하여 치료를 진행을 합니다.
병기가 낮은 경우에는 대게 국소적 방사선 치료를 통하여 치료를 진행하고 병기가 높아 병이 전신에 퍼진 경우에는 여러 약제를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복합 항암 화학요법을 이용을 하여 치료를 하게 됩니다.
림프종 원인과 증상, 진단, 치료 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더 좋은 건강 정보로 포스팅하겠습니다.
법적 한계에 대한 고지
본 정보는 건강 정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자료이며 환자의 증상과 질병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의사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