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구획증후군 원인 증상 치료

 

 

 

 

안녕하세요! 건강 정보 블로그 돈도끼 티스토리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구획증후군 원인과 증상, 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 몸의 상지와 하지는 몇 개의 근육이 하나의 덩어리를 이루어 구획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구획 증후군은 여러 이유로 인해 부종이 심해질 때 근육 구획 내의 압력이 증가하면서 그곳의 동맥을 압박하고 말단부의 혈액 공급을 차단하여 4~8시간 안에 구획 내 근육과 기타 연부 조직이 괴사 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구획 증후군의 종류로는 임박형 구획 증후군과 만성현 구획 증후군이 있습니다.

임박형 구획 증후군은 조직의 압력이 상승하지만 조직의 괴사는 발생하지 않는 질환입니다.

확정형 구획 증후군은 조직의 괴사가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만성형 구획 증후군(재발형 구획 증후군)은 재발한 임박형 구획 증후군을 의미합니다.

 

 

 

 

 

구획 증후군 원인

 

일반적으로 구획압력 상승의 원인은 외부로부터 근육 주위의 충격을 받아 염증 반응으로 근육의 부종이 유발되는 경우(외상), 단단한 물질에 의해 구획 주위를 둘러 싸여 과도하게 조이는 경우(석고 고정이나 스타킹의 외부 압박), 근망 안으로 혈액이 들어차는 경우, 외부에서 강한 압력으로 액체가 유입되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한편, 구획의 압력이 정상인 경우 생기는 구획 증후군도 있는데 보통 구획 안의 혈관 손상으로 피가 통하지 않는 모든 경우가 해당됩니다.

즉 주머니 안의 압력은 변화가 없지만 구획 안의 내용물에 대한 혈액 공급이 원활히 되지 않아 그 내용물의 손상이 유발되는 것입니다.

 

 

 

 

구획 증후군 증상

 

간단하게는 근육 일부분의 손상 만으로 그쳐 일상 생활에 영향이 없을 수도 있지만 구획 안의 모든 근육의 괴사가 될 정도가 되면 그 근육의 마비가 생깁니다.

구획 증후군의 증상으로는 소위 5P 징후가 있는데 통증, 창백, 이상감각, 마비, 무맥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런 것 말고도 피부나 피하 지방의 혈액 순환에 이상이 생기게 되어 피부 결손이나 피부 괴사가 생깁니다.

가장 큰 특징은 초기에 문제가 있는 부위를 살짝 건드리기만 해도 통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미 조직이 괴사 되어 버린 확정형 구획 증후군의 경우 통증은 없어집니다.

 

 

 

 

 

구획 증후군 진단

 

구획 증후군이 의심되고 적절한 검진이 불가능하가면 조직압을 꼭 측정해봐야 합니다.

구획 증후군으로 진행하는 것이 확실하다고 판단되면 임상적으로 추정 확진하여 즉시 치료를 시작하여 치료 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구획압은 정맥관 IV tube 3-방향 멈춤 꼭지 three way stopcock, 주사기, 수은 혈압계를 가지고 측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보다 간편한 손에 주고 쓸 수 있는 조직압 측정계도 있습니다.

이미 진행된 구획 증후군의 경우 근전도 검사나 조직 검사를 시행하여 근육의 괴사나 섬유화가 관찰되면 진단에 도움이 되고 단산훈 신경 마비와의 감별 진단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구획 증후군 치료

 

구획 증후군이 의심되는 경우 병변 주위를 감싸고 있는 붕대나 드레싱, 석고 붕대를 신속하게 제거를 해야 합니다.

붕대, 드레싱, 부목 등을 완전히 제거한 후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즉시 근막 절개술을 시행을 합니다.

근만 절개술은 근막을 절개하여 구획 내의 압력을 감소시켜 조직의 괴사를 방지하는 수술을 의미합니다.

급성 구획 증후군은 심한 외상 후에 생기는 것이므로 통증이 심하며 휴식을 취해도 통증이 없어지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응급 수술을 해야 합니다.

만성 구획 증후군은 급성 구획 증후군과 달리 통증이 약하고 휴식을 취하면 통증이 없어지므로 수술을 하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구획 증후군 합병증

 

구획 증후군의 합병증으로 사지 구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시기에 수술하면 정상 기능을 회복하는 비율이 68% 정도에 이릅니다.

구획 증후군이 발생하고 12시간 이상 지난 이후에 근막 절개술을 시행하면 8% 정도가 정상 기능을 회복합니다.

 

 

 

 

야외에서 활동하다가 어딘가에 부딪혀서 다리나 팔에 통증이 생기면서 붓는 경우에 구획 증후군을 의심하여야 합니다.

심한 통증이 발생을 하고 그 통증이 진통제나 부목으로 조절이 안 되는 경우 구획 증후군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부상 부위를 조이는 것들을 느슨히 풀어주고 심장보다 높게 유지시키는 것으로도 즉각적인 증상의 호전을 경험을 합니다.

하지만 큰 호전이 없는 경우는 적극적이고 전문적인 처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응급 진료 기관을 방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구획 증후군의 원인과 증상, 진단, 치료, 합병증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더 좋은 건강 정보로 포스팅하겠습니다.

 

 

 

 

법적 한계에 대한 고지
본 정보는 건강 정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자료이며 환자의 증상과 질병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의사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섬유근육통 원인 증상 치료

섬유근육통 원인 증상 치료 안녕하세요! 건강 정보 블로그 돈도끼 티스토리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섬유근육통 원인과 증상, 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섬유근육통은 특별한

dondokki.tistory.com

 

 

무릎 추벽증후군 원인 증상 치료법

무릎 추벽증후군 원인 증상 무릎 추벽증후군 치료법 안녕하세요! 건강 정보 블로그 돈도끼 티스토리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무릎 추벽증후군 원인, 증상,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

dondokki.tistory.com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